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성격을 이해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성격유형검사를 활용합니다. 이러한 성격유형검사들은 개인의 성격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파악한 특성에 적합한 직업을 찾거나 인간관계에서의 강점이나 약점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성격유형검사 몇 가지를 소개하고, 각각의 장단점과 유효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성격유형검사 중 하나입니다. MBTI 검사는 사람의 성격을 4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마다 2개의 유형으로 나눔으로써 총 16개의 성격유형을 제시합니다.
각 영역과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외향 E, 내향 I
- 감각 S, 직관 N
- 사고 T, 감정 F
- 판단 J, 인식 P
MBTI 검사 장점
MBTI의 장점은 분석결과가 직관적인 편이며 잘 맞을 것 같은 직업을 추천하거나 인간관계를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면 좋을지에 대해서 힌트를 얻기 좋습니다. 또한 자기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MBTI 검사 단점
MBTI는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며 검사결과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분히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학술적인 심리학에서는 신뢰성이나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빅 파이브 성격이론 (Big Five Personality Traits)
빅 파이브 성격이론은 성격을 개방성(Openness), 성실성(Conscientiousness), 외향성(Extraversion), 친화성(Agreeableness), 정서적 안정성(Neuroticism) 등 5가지 요소로 구분합니다.
빅 파이브 성격이론 장점
빅 파이브 성격이론은 다양한 후속연구 등에서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이론입니다. 또한 성격을 여러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심리학 연구나 채용과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빅 파이브 성격이론 단점
MBTI와 같이 대중화된 성격유형 검사에 비해서는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성격적인 특성이 이분법적으로 구분된다기 보다는 연속적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마치며
오늘 소개해드린 MBTI 검사와 빅 파이브 성격이론 이외에도 에니어그램(Enneagram), DISC 행동유형 검사 등 여러 성격유형검사들이 존재합니다. 각각의 성격유형검사들은 어떤 것에 포커싱을 했는지에 따라서 장점과 단점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이 궁금하고 알고 싶어 하거나 자신에게 필요한 성격유형검사가 어떤 것인지 확인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신다면 훨씬 만족도가 높을 거라고 생각합니다.